오늘 트위터에서는 몇가지 변화가 발표되었습니다. 오늘 아침 NBC의 Today Show에 (며칠전에 싸이가 출연했던 바로 그 Today Show!!) 트위터의 CEO인 Dick Costolo가 출연해서 트위터의 디자인상의 변화에 대해 발표를 하였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좀더 사용자 친화적이고 미디어 친화적인 변화를 통해 보다 더 많은 사람들에게 다가가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해석되는군요. Costolo의 언급을 그대로 옮기면.. “Today’s changes are all about bringing that personality forward. More media forward, more photos forward,” Costolo said on the show. … [Read more...] about 트위터의 몇가지 변화
Godaddy 서버, 해커 공격으로 다운
미국내 최대의 도메인 등록 및 호스팅 회사중의 하나인 Godaddy가 오늘 다운되었습니다. 이때문에 Godaddy에서 호스팅하고 있거나 혹은 도메인이 등록되어 있는 많은 웹사이트들이 함께 다운되는 사태가 벌어졌습니다. 현재 Godaddy.com의 메인사이트도 여전히 다운되어 있는 상황이고 Godaddy에서는 트위터를 통해 현재 복구중이라고 알려왔습니다. 얼마나 많은 사이트들이 현재 다운되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는 상황입니다. Godaddy를 이용하고 있는 일부 사이트들중에 현재 아무런 문제없이 잘 작동하고 있는 사이트들도 있습니다. Godaddy의 webmail을 사용하는 고객들의 경우 이메일까지 작동하지 않아 많은 불편을 겪고 있는 것으로 … [Read more...] about Godaddy 서버, 해커 공격으로 다운
미국 온라인 쇼핑의 성장
미국내 온라인 쇼핑의 성장이 계속될 전망입니다. 최근 eMarker의 발표에 따르면 2012년도 소매부문 온라인 쇼핑 규모는 2,242억불($224.2 B)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성장세가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는 것입니다. 온라인 쇼핑 소비자의 숫자도 증가할 뿐 아니라 일인당 구매 규모도 2011년도의 일인당 $1,207에서 2016년에는 이보다 44%가 증가한 일인당 $1,738로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많은 온라인 쇼핑 분야중에서도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는 의류 및 액서사리 분야일 것으로 eMarketer는 예상하고 있습니다. 아래에 보시는 것은Baynote에서 만든 향후 미국내 온라인 쇼핑에 대한 예측 … [Read more...] about 미국 온라인 쇼핑의 성장
Google Webmaster Tools의 개선된 기능
웹사이트의 관리에 있어서 Google Webmaster Tools은 아주 유용한 도구이며 사실 웹사이트 관리자나 온라인 마케팅 담당자에게는 필수적인 도구이기도 합니다. Google Webmaster Tools를 통해서 웹사이트에서 발생되는 에러들을 알 수 있고 Google의 검색로봇이 발견한 검색순위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이슈들을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8월 19일에 Google Webmaster Central blog에서 발표한 바에 따르면 Site Errors report가 훨씬 더 세부적으로 나온다고 합니다. 즉, 각 에러들이 카테고리별로 세분화된다고 하는군요. 예를 들어 사이트에 GoogleBot이 접근할 수 없는 경우 그 이유를 DNS … [Read more...] about Google Webmaster Tools의 개선된 기능
해외 검색 엔진과 한국 검색엔진의 비교
모바일 디바이스의 폭발적인 증가와 함께 하루종일 인터넷에 연결되는 시대가 되면서 갈수록 검색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고 그만큼 비즈니스에 있어서도 검색엔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검색시장에 있어서 가장 큰 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회사는 단연 Google입니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Google이 아직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몇몇국가중의 하나이고 아시다시피 한국에서는 네이버가 시장장악력이 가장 큰 회사입니다. 따라서 네이버에 익숙한 한국분들은 Google의 스타일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를 많이 보게 됩니다. 엄밀하게 이야기하면 네이버나 다음의 경우는 검색엔진이라기보다는 포털사이트입니다. 미국내 비즈니스에 있어서 검색엔진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져가는 … [Read more...] about 해외 검색 엔진과 한국 검색엔진의 비교